Yesterday :
Total :
탈 프로젝트
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소비자피해 건수 비교 : CJ대한통운, 한진, 현대, 로젠, 경동택배 등 본문
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소비자피해 건수 비교 : CJ대한통운, 한진, 현대, 로젠, 경동택배 등
Adam's Tal 2015. 12. 4. 15:06'KCA Smart Consumer'
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
소비자피해 건수 비교 :
CJ대한통운, 한진, 현대, 로젠, 경동택배 등
2015. 12. 04
지난 '2015. 12. 01' 한 '택배기사'분과 교환한 '문자메시지'를 가지고
'택배 문자메시지'에 관한 포스팅을 한 차례 했었는데...
.
.
.
우연히 이날 '스마트컨슈머 Smart Consumer' 홈페이지 '일반비교정보'에 올라온
각각의 택배사별 물동량에 따른 소비자피해 접수 건수로 본 '택배 서비스' 비교정보를 보게되어
이렇게 다시금 '택배' 관련 글을 쓰게 되었다. :O
<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소비자피해 건수 비교 : CJ대한통운, 한진, 현대, 로젠, 경동택배 등>
한국소비자원(KCA)이 생산 및 제공하는
위 '택배서비스' 비교정보는 이미 글의 '제목'에서부터 두괄식으로 그 결론을 말해주는데
소비자피해 건수가 가장 적은 택배회사가 'CJ대한통운'일줄은 꿈에도 몰랐다. :O
언제, 어디서든 '첫인상'이 참 중요한 터라
약 5~6년 전부터 미친듯이 '옷'을 사기 시작한 '나'로써 많은 '택배회사'의 '택배 서비스'를 경험해보았고
그때 그시절 수많은 택배회사 중, (당시) '대한통운'은 (내 마음 속) 하위권이었다며... ^^;
<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소비자피해 건수 비교 : CJ대한통운 한진, 현대, 로젠, 경동택배 등>
주관적?이면서 (객관적인?) 시선에서 이번 '택배 서비스' 비교정보에 제외된
'우체국택배'가 사실상 국내 '택배'계에서 1위일 것으로 여겨지는데...
.
.
.
'우체국택배'는 소비자 피해구제 접수X를 받지 않아
'한국소비자원'의 해당 비교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었다고 하니 참고하도록 하자. :)
...
그러한 '우체국택배X'를 제외한 국내 택배사별 물동량 대비 '택배 서비스'
소비자 피해 접수 현황을 보면
타 택배사와 비교했을 때 월등히 많은 택배물량의 'CJ대한통운'이었는데
그만큼 소비자 피해건수도 많지만 비율적으로는 1천만 당 1.12건수로 그 피해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.
그 뒤로 '한진택배', '현대택배', '로젠택배', 'KG로지스', 'KGB택배', '경동택배' 등이 따랐고
위 표에 의하면 'KGB택배'와 '경동택배'를 이용하였을 때
'소비자피해'를 경험할 수 있는 그 발생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.
<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택배사별 소비자 피해구제 합의율>
'소비자피해 건수' 비율만 보았을 때, 'CJ대한통운'이 택배물량 대비
소비자 피해 건수가 가장 낮아 '택배회사'의 서비스로는 꽤나 만족스러운 모습이겠다.
하지만 '소비자 피해'가 발생하여 피해 사례가 접수된 경우
'한국소비자원'의 합의권고를 받아들인 비율, 즉 소비자 피해에 따른 택배회사의 '합의율' 순위는
'한진택배'가 1위이며 'CJ대한통운'은 6위가 되겠다.
<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택배사별 소비자 피해유형 현황>
'한국소비자원(KCA)'이 조사한 '택배 서비스' 비교정보에 따르면
택배회사별 '소비자 피해유형'은
위 그래프와 같은데 대부분 '물품 파손 및 분실'이었다며... :P
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이
'택배회사'에 따라 소비자들의 피해 접수 내용이 달랐다는 점인데
경동택배, KGB택배, 로젠택배, KG로지스 등은 '훼손 및 파손' 관련 접수가 많았다면
CJ대한통운, 현대택배, 한진택배는 '분실' 접수가 많은 모습이다. ^^;
<택배 서비스 이용 시 소비자 주의 사항 안내>
대한민국의 '소비자'이자 인터넷 쇼핑이 익숙하고 또 참 좋아라하는 젊은 '20대 청춘'으로서
어릴 때부터 '택배 서비스'를 접해온 '나'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
지난 '택배문자' 관련 글에서도 언급했듯이 현재는 꽤나 상향평준화된 '택배 서비스'를 경험할 수 있겠다.
하지만 이번 '한국소비자원(KCA)'이 생산 및 제공한 '택배 서비스' 비교정보를 통해
소비자들에게는 보다 더 나은 '택배 서비스'를 제공하는 '택배회사'를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을 것이고
서비스 제공자(택배회사)측에선 앞으로 한층 더 자신의 서비스를 높일 수 있는
동기부여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. :O
'택배' 이용 시, 위 '소비자 주의 사항'은 꼭 참고하도록하며
택배 관련 '소비자 피해'가 발생했을 경우 당황하지 말고 신중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바란다. ;)
한국소비자원 운영 / 공정거래위원회 주관
스마트 컨슈머 서포터즈
Adam's Tal Project : 탈 프로젝트
'As a Supporter > KCA Smart Consum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채널 시대 속 1인 미디어의 확산 '퍼스널 프로듀싱족 Personal Producing' : 유튜브 & MCN사업 (3) | 2015.12.11 |
---|---|
스마트폰 앱(어플)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수준 : 앱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및 감시 가능성 우려 (0) | 2015.12.08 |
한국소비자원 '한식뷔페' 소비자 만족도 조사 : 풀잎채, 계절밥상, 자연별곡, 올반 차이 (0) | 2015.11.30 |
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 서비스 만족도 순위 : 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 (0) | 2015.1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