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esterday :
Total :
탈 프로젝트
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 서비스 만족도 순위 : 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 본문
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 서비스 만족도 순위 : 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
Adam's Tal 2015. 11. 13. 16:28'KCA Smart Consumer'
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
서비스 만족도 순위 :
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
2015. 11. 09
한 편의 '블록버스터?'급의 영화를 보는듯한 '배달앱 - 배달어플' 광고를 본 사람이
나를 포함해 꽤나 있을 것이라 자부하는데...
.
.
.
그만큼 현재 '배달앱 시장'의 크기가 커졌다고 보면 되겠다. :O
(1조원 규모 그 이상으로 커졌을 뿐만 아니라
각각의 '배달앱 - 배달어플' 업체 사이에서의 경쟁 또한 만만치 않겠다. ^^;)
<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 서비스 만족도 순위 : 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>
'한국소비자원 (KCA : Korea Consumer Agency)'에서 생산하고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
'배달앱 - 배달어플'에 따른 '서비스 만족도'를 조사하였는데...
.
.
.
조사 대상으로는 시장점유율이 높은 3개의 배달앱인
'배달통' & '배달의 민족' & '요기요'가 선정되었고 그 결과를 접하고 난 뒤
개인적으로 살짝 놀랐더랬다. ^^;
<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 서비스 만족도 순위 : 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>
'배달앱 - 배달어플'이라 함은
'스마트폰 : 모바일'로 배달음식을 주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'어플리케이션(앱)'을 뜻하며
소비자의 '배달앱 서비스 만족도' 그 결과만 따지고 본다면...
.
.
.
'배달' 관련 정보 제공 및 주문/배달을 도와주는 '앱 주문 시스템'의 만족도가
실제 주문 제공된 '음식'에 대한 만족도 보다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.
그 말인즉 '배달앱 - 배달어플'의 쓰임은 적절하였으나
배달의 결과물인 '음식' 및 '서비스'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족이 컸음을 의미하는데
이와 관련해서는 조금 더 자세히 볼 필요가 있겠다. :O
<한국소비자원 배달앱 (배달어플) 서비스 만족도 순위 : 배달통 & 배달의 민족 & 요기요>
앞서 언급했던 시장점유율이 높은 3개의 '배달앱' 모두
실질적으로 '종합만족도' 5점 만점에서 3점대 초,중반의 점수를 받은 모습으로
개인적인 내 기대에 못 미치는 서비스를 보여줬다며... :(
점입가경으로 위 사례 뿐만 아니라
'배달앱 - 배달어플'을 이용해 주문했을 때와 '전화주문'을 이용했을 때
배달 음식의 '양'에서 차이가 발생한 것인데
꽤나 많은 사람들(25.9%)이 전화 주문한 음식의 양이 앱 주문 보다 많다고 느꼈단다. ^^;
만약에 위와 같은 경우가 사실이라면 소비자로서 굉장히 화가날 수밖에 없겠는데
아까부터 느꼈던 거지만 이는 '배달앱 - 배달어플'의 문제(X)가 아니라
그곳에 등록된 '배달 음식 업체'의 '음식'과 '서비스'의 문제(O)라는 것이 내 의견이다. :O
...
개인적으로 '배달앱 - 배달어플'을 통해 배달 주문을 해본 적은 없지만
글쎄... '배달앱'을 사용하든 '전화주문'을 이용하든
다 같은 고객인데 '차이?'가 있다는 것이 애초에 잘못된 것이 아닐까?
한국소비자원 운영 / 공정거래위원회 주관
스마트 컨슈머 서포터즈
Adam's Tal Project : 탈 프로젝트
'As a Supporter > KCA Smart Consum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비자원 '택배회사 서비스 순위' 소비자피해 건수 비교 : CJ대한통운, 한진, 현대, 로젠, 경동택배 등 (2) | 2015.12.04 |
---|---|
한국소비자원 '한식뷔페' 소비자 만족도 조사 : 풀잎채, 계절밥상, 자연별곡, 올반 차이 (0) | 2015.11.30 |
스마트컨슈머 비교정보 : 효도화로 알려진 남자 컴포트화 비교 (소다, 바이네르, 클락스, 닥스, 탠디, 미소페 등) (0) | 2015.11.11 |
한국소비자원 대형마트 소비자 만족도 조사 : 코스트코, 이마트, 홈플러스, 농협하나로마트, 롯데마트 (0) | 2015.11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