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esterday :
Total :
탈 프로젝트
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수익 확인 방법 : 유튜브 스튜디오 추정 수익 본문
'탈' Project
구글 애드센스
유튜브 수익 확인 방법 :
유튜브 스튜디오 추정 수익
<구글 애드센스
유튜브 수익 보고서 만들기>
2017. 09. 01. ~ 09. 30.
유튜브(Youtube)를 운영 중인 이들이라면, 또 그들 중 업로드한 동영상 누적 조회수 1만(10,000)뷰를 넘긴 이들이라면, 자연스럽게 '구글 애드센스' 광고를 활용해 수익 창출을 노릴 것이다.
누군가 내 동영상을 볼 때마다 구글 애드센스가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'광고'가 나오기 시작하고 그것의 노출 또는 시청자의 클릭을 통해 수익이 발생할 것인데, 이게 블로그와 달리 그 확인 방법이 조금 다르다.
<[구글 애드센스] 유튜브 수익 보고서
내 보고서 - 새 보고서 - 필터 - 추가 - 제품 :
호스팅된 콘텐츠용 애드센스>
나와 같은 '티스토리 블로그' 운영자라면 구글 애드센스 승인 이후, 해당 홈페이지를 접속하면, 어느 정도의 '예상수입'을 확인할 수 있다. 하지만 '유튜브' 운영자에게는, 비록 동일 구글 애드센스 아이디로 등록하더라도, 유튜브 채널 수익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는 제공해주지 않는다.
물론, 속 편하게 관심 끊고 있다가 매달 10일(~12일?!)쯤 정산되는 '유튜브 수익'을 구글 애드센스 '지급 내역 (거래)'에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. 참고로, 구글 애드센스 수입은 매달 초 '티스토리 블로그' 수익이 정산되고, 10일(~12일) 이후 '유튜브 수익'이 정산된 뒤, 20일(~22일) 이후 등록된 계좌로 송금되는 식이다.
<구글 애드센스 - 내 보고서 - 새 보고서
- 필터 - 추가 - 제품 :
호스팅된 콘텐츠용 애드센스 적용 >
그렇게 기다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이들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'구글 애드센스' 내 유튜브 수익 관련 '새 보고서'를 만들곤 하는데, 보고서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으니 참고하기 바란다. (새 보고서는 구글 애드센스 카테고리 '실적 보고서'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.)
우선, (크롬을 통해) '구글 애드센스' 홈페이지에 접속한다. 좌측 카테고리에 자리잡은 '실적 보고서(내 보고서)' 속 '새 보고서'를 클릭해 해당 란에 보여진 '필터' 옆 '추가'를 클릭한다. 추가에 등장하는 메뉴 중 '제품'을 선택한 뒤 '호스팅된 콘텐츠용 애드센스'를 클릭한 후 '적용'을 누른다.
<'호스팅된 콘텐츠용 애드센스'가 적용된 보고서를
내 보고서에 추가 (우측 상단)>
<내 보고서에 추가
보고서 이름 : 유튜브 보고서 - 저장>
그렇게 제품란에 '호스팅된 콘텐츠용 애드센스'를 선택하여 적용시키면 해당 새 보고서는 관련된 보고서로 전환될 것인데, 그토록 궁금해했던 '유튜브 수익' 보고서가 바로 그것이다. 우측 상단에 자리잡은 '내 보고서에 추가'를 클릭해 '보고서 이름'을 작성한 뒤 '저장'을 누르면 말 그대로 내 보고서에 등록된다.
<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
내 보고서 및 보고서 관리에 등장한
유튜브 보고서>
<유튜브 보고서 - 총 수입
'호스팅된 콘텐츠용 애드센스' 적용 보고서>
하지만 이 보고서, 어떻게 만들고 나서 보니 어딘가 좀 이상하다. 일반적으로 내게 익숙한 '그래프'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. (사진 속에서는 지웠지만) 페이지뷰, 노출수, 클릭수, 등 '총수입'은 보이지만 '예상 수입'은 언제나 US$0.00로 기록돼 있다.
'이건 뭐지?' 하는 의문 속에서 매달 '유튜브 수익' 정산 시점에 보고서 내 '총수입'을 예상해도 되는 것일까? 몇몇 이들이 말하기를 해당 총수입에서 보다 더 낮은 금액이 정산된다는데, 그 말인즉 정확한 정보는 아니다는 거다. (그저 참고용으로 보자는 의견이 많다.)
<2017. 09. 01. ~ 09. 30. 한 달간
유튜브 수익 공개>
물론, 이 부분은 충분히 이해된다.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'수입 - 콘텐츠용 애드센스' 외 '무효 트래픽 - 콘텐츠용 애드센스'에 따른 수익은 자동적으로 제외되는 것을 수없이 봐왔기 때문이다. 하지만 '유튜브 수익'은 도통 정보가 없으니 알 수가 없다. (어쨌든, 지난 9월 한 달간 총수입 1.59달러에서 조금 낮은 1.31달러가 정산된 모습이다.)
<유튜브 어플리케이션(앱)
유튜브 스튜디오 YouTube Studio>
그러던 중 알게된 어플리케이션(앱)이 하나 있다. '유튜브 관리'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 후 접속하면 본인이 운영 중인 '채널'에 따라 그 분석 결과를 볼 수 있다. 실시간으로 시청 시간, 조회수, 구독자 수 변동, 추정 수익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돋보인다.
<유튜브 스튜디오 - 추정 수익 (9월)>
위 '유튜브 스튜디오 YouTube Studio' 어플리케이션을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앱에서 확인 가능한 '추정 수익'의 정확성에 있다. 구글 애드센스가 연동된 유튜브 채널로 접속한 경우, 추정 수익을 통해 '예상 수입'을 확인할 수 있는데, 지난 9월 한 달간 벌어들인 추정 수익(1.31달러)이 앞서 살펴본 최종 유튜브 정산 수입(1.31달러)과 일치함을 볼 수 있다.
결국, 구글 애드센스에 생성한 '새 보고서 : 유튜브 보고서'보다도 '유튜브 스튜디오'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한 '추정 수익'이 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이다. 그런 뜻에서, 앞으로 유튜브 수익 확인은 앱을 활용해 확인할 것을 추천한다.
Adam's Tal Project : 탈 프로젝트
''탈' Project - Blog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티스토리 블로그 반응형 스킨 #2 적용 및 HTML/CSS 수정 후기 by 탈프로젝트 (14) | 2017.12.19 |
---|---|
남자 패션 블로그 [탈 프로젝트] 네이버 포스트 팔로워 100명 돌파 (0) | 2017.11.30 |
구글 애드센스 광고 숨기기 표시 : 숨겨진 광고 찾는 방법 (0) | 2017.09.18 |
[구글 애드센스] 유튜브 광고 with 유튜브 누적 조회수 1만뷰 달성 (0) | 2017.09.07 |